내소사는 오랜 역사와 함께 조선 시대 건축미, 불교 문화재,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명소로, 계절마다 다른 풍경 속에서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 곳입니다. 번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고즈넉한 사찰을 거닐며 마음의 평온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내소사는 더없이 좋은 여행지가 될 것입니다.
부안 내소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에 자리한 내소사(來蘇寺)는 백제 무왕 34년(633년)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내소사 가는 길, 전나무 숲길
내소사로 향하는 길목에는 600m 길이의 전나무 숲길이 펼쳐져 있습니다.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이 길은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될 만큼 장관을 이루는 명소입니다.
특히 푸른 전나무가 빽빽이 들어선 여름과 단풍이 물드는 가을, 그리고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이는 겨울에는 더욱 특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숲길을 따라 천천히 걷다 보면 자연 속에서 마음이 차분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역사와 건축미가 살아 있는 대웅보전
내소사는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내소사의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조선 인조 11년(1633년) 청민 대사가 중창한 건물로,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이 돋보이는 문화재입니다.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으로 구성된 팔작지붕 형태이며, 조선 중기 대표적인 건축 양식인 다포 양식이 적용되었습니다. 특히, 처마를 받치는 구조가 기둥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까지 확장되어 있어 더욱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대웅보전의 꽃문살은 섬세한 조각 기술이 돋보이는 부분으로, 조선 시대 목조건축의 정수를 엿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 후벽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백의관음보살 좌상"이 그려져 있어 불교 예술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대웅보전 현판은 조선 후기 명필로 알려진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7)가 쓴 것으로,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내소사의 주요 문화재
내소사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 (1963. 1. 21. 지정)
영산회괘불탱
보물 제1268호 (1997. 8. 8. 지정)
고려동종
국보 (1963. 1. 21. 지정)
법화경절본사본
보물 제278호 (1963. 1. 21. 지정)
삼층석탑
전북유형문화재 제124호 (1986. 9. 8. 지정)
설선당
전북유형문화재 제125호 (1986. 9. 8. 지정)
목조아미타삼존불상
전북유형문화재 제255호 (2018. 3. 9. 지정)
이외에도 사찰 입구에는 지장암(地藏庵)과 청련암(靑蓮庵)이라는 부속 암자가 자리하고 있어 더욱 깊은 불교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방문 정보
내소사를 방문할 계획이라면 아래 정보를 참고하세요. 특히 내소사에서는 템플스테이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번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조용한 사찰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싶다면 한 번쯤 경험해볼 만한 프로그램입니다. 템플스테이는 사전 예약이 필수이므로 홈페이지(www.naesosa.kr)를 참고해보세요.
주소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이용시간
하절기(3-10월) : 6시-19시
동절기(11-2월) : 7시-18시
입장료
무료
주차
가능(국립공원 주차장 이용)
체험 프로그램
템플스테이 등
편의시설
장애인 전용 주차장 및 화장실
유모차 및 휠체어 대여 가능 (국립공원 탐방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