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갓바위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전설, 역사가 어우러진 명소입니다. 최근에는 갓바위 인근에 해상보행교와 야간경관 조명이 추가되어, 목포의 야경 명소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목포 갓바위
목포의 갓바위는 자연과 전설, 역사가 공존하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된 이곳은 전남 목포시 용해동 인접해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자연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4월 27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갓바위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천연기념물 제500호
분 류 :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지질지형
지정(등록)일 : 2009.04.27
소 재 지 : 전남 목포시 용해동 86-24번지 인접해역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 목포시
갓바위 모양,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갓바위 갓바위의 아름다움은 저녁노을에 물든 바다와 입암산의 절벽에 반사되는 노을빛에서 더욱 빛을 발합니다. 이곳은 파도와 해류에 의해 침식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자연학습장으로, 특히 큰 갓 모양의 바위와 그 뒤를 포근히 감싸고 있는 입암산 그리고 영산강의 풍경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노을빛을 연출합니다.
갓바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독특한 형태가 형성된 이유는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암석 표면에 파도가 치거나 안개가 끼면 염분을 함유한 물에 젖었다가 마르기를 수없이 되풀이 하고 수분에 녹아있던 실리카성분이 침전 되면서 용해된 부분은 조직이 이완되고 강도가 낮아져 모자모양의 경질부와 아래쪽이 움푹 패인 벌집 모양의 풍화혈이 형성된 것입니다. 또한 삿갓이 동남쪽을 향한 것은 햇볕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목포 가볼만한 곳 베스트 10
목포는 전라남도 3대 항구도시 중 하나로, 아름다운 다도해를 배경으로 한 관광지와 즐길거리, 먹거리로 가득한 곳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목포 여행에서 절대 놓치면 안 될 관광 명소를 소개해
forsavvylife.com
갓바위 전설, 슬픈 이야기
또한, 갓바위에 얽힌 전설은 이곳을 더욱 특별하게 만듭니다.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소금을 팔아 살아가던 착한 청년의 이야기부터, 부처님과 아라한이 삿갓을 놓고 간 곳이라는 이야기까지, 다양한 전설이 전해 내려오며 갓바위를 방문하는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갓바위 전설
여기 서 있는 한 쌍의 바위에는 몇 가지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아주 먼 옛날에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소금을 팔아 살아가는 젊은이가 있었는데 살림살이는 궁핍하였지만, 아버지를 위해서는 어떠한 일도 마다하지 않는 착한 청년이었다. 아버지의 병환을 치료하기 위해 부잣집에 머슴살이로 들어가 열심히 일했으나 주인이 품삯을 주지 않아 한 달 만에 집에 돌아와 보니 아버지의 손과 발은 이미 식어있었다. 젊은이는 한 달 동안이나 병간호를 못한 어리석음을 한탄하며, 저승에서나마 편히 쉴 수 있도록 양지바른 곳에 모시려다 그만 실수로 관을 바다 속으로 빠뜨리고 말았다. 불효를 통회하며 하늘을 바라 볼 수 없다며 갓을 쓰고 자리를 지키다가 죽었는데, 훗날 이곳에 두개의 바위가 솟아올라 사람들은 큰 바위를 아버지바위라 하고 작은 바위를 아들바위라고 불렀다.
또 한가지는 부처님과 아라한(번뇌를 끊고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성자) 이 영산강을 건너 이 곳을 지날 때 잠시 쉬던 자리에 쓰고 있던 삿갓을 놓고 간 것이 바위가 되어 이를 중바위(스님바위)라 부른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갓바위 야경과 해상보행교
2008년에 설치된 해상보행교는 갓바위를 해상에서 직접 조망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총연장 298m, 폭 3.6~4.6m의 보행교는 밀물 때 약 1m 올라왔다가 썰물 때 바닷물을 따라 내려가며, 야간경관 조명이 설치되어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동절기에는 오전 5시부터 오후 11시까지, 하절기에는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통행이 가능하여, 방문객들은 아름다운 갓바위와 목포항의 야경을 즐길 수 있습니다.
갓바위 해상보행교 이용시간
동절기 : 5시-23시
하절기 : 5시-2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