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에 위치한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무량수전과 배흘림기둥, 떠 있는 바위로 유명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입니다. 경북 영주 여행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부석사에 방문해 한국 전통 건축과 불교문화의 정수를 감상해 보세요!
경북 영주 부석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종의 중심 사찰입니다.
이곳은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로, 다양한 역사적 유물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특히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배흘림기둥으로 유명하며, 부석사의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부석사의 역사
부석사는 신라의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창건한 사찰로, 의상대사는 당시 신라의 혼란을 극복하고자 화엄사상을 펼쳤습니다. 부석사는 해동 화엄종의 종조로서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온 중요한 불교 사찰입니다. "부석사"라는 사찰의 이름은 불전 서쪽에 떠 있는 바위, 즉 뜬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또한 이곳은 전설과 이야기가 깃든 명소로도 유명합니다. 의상대사가 머물며 도를 닦은 우물에는 호법룡이 살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 우물은 지금도 신성하게 여겨집니다.
무량수전과 배흘림기둥
부석사의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중 하나로, 그 건축적 아름다움과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무량수전의 기둥은 가운데가 볼록한 배흘림기둥으로, 기둥의 중간이 볼록한 형태를 띠어 건물의 안정성과 미적 균형을 잘 보여줍니다. 이 건축양식은 많은 건축가와 연구자들에게 주목받고 있으며, 부석사의 상징적인 요소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석사의 유물과 볼거리
부석사 경내에는 통일신라 시대와 고려 시대의 다양한 유물이 남아 있습니다. 무량수전 앞에 자리한 석등, 삼층석탑, 석조 여래 좌상 등은 신라와 고려 시대의 문화와 불교적 신앙을 보여줍니다. 조사당의 벽화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벽화로, 그 가치는 매우 높으며 유물관에서 보관되고 있습니다. 또한, 여래 좌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소상 중 하나로, 부석사의 예술적 가치를 상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