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 용강서원

반응형

용강서원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정신을 기리고 지역 사회의 교육과 유교 전통을 이어가는 서원으로, 그 역사적 가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중요성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순천의 용강서원을 방문하면 전통 서원의 건축미와 함께, 선조들이 남긴 유교 정신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역사와 전통이 어우러진 이곳에서 조상들의 가르침을 느끼며 깊은 감동과 의미를 되새겨 보시길 추천합니다.

 

순천 용강서원

전남 순천에 위치한 용강서원은 조선시대 훌륭한 유학자였던 양팽손과 그의 후손 양신용을 추모하고, 그들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서원입니다. 조선시대 서원은 지역의 유학자를 기리는 동시에 지역민에게 교육을 제공하던 사립 교육기관으로, 오늘날까지 역사적 가치와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습니다. 1821년 순조 21년에 창건된 용강서원은 고종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70년에 순천 금곡동으로 이전 복원되었습니다.

전남 순천 용강서원 (사진 : 문화재청)

 

용강서원의 역사와 창건 배경

용강서원은 조선 후기에 양팽손과 그의 후손 양신용을 기리기 위해 순천 해룡면에 세워졌습니다. 양팽손은 유학자로서 훌륭한 인품과 학문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그의 후손인 양신용 또한 이러한 정신을 이어받아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선조들을 기리고자 지역 유림들이 힘을 모아 서원을 창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868년 고종 5년 서원 철폐령으로 인해 많은 서원들이 훼철되었고, 용강서원 또한 그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1970년이 되어 금곡동으로 다시 지어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건축 구조와 배치

용강서원은 전통 한옥 양식을 따르며, 서원의 기본 구조와 기능을 잘 보존하고 있습니다. 서원의 입구인 외삼문에는 ‘지춘문(止春門)’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으며, 이 문을 들어서면 ‘용강서원(龍岡書院)’이라고 쓰인 강당이 나타납니다. 이 강당은 제자들과 후손들이 유학자의 정신을 기리고 학문을 배우는 공간이었으며, 좌우로는 동재와 서재가 있어 교육 공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강당 뒤쪽에는 제향을 위한 공간이 위치해 있으며, 이곳은 내삼문인 ‘이정문(二程門)’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제향 공간의 중심 건물인 ‘신실(神室)’은 앞면 3칸, 옆면 1칸 반의 규모로, 전면에는 툇간이 개방된 맞배지붕의 건축 양식을 따릅니다. 신실 안에는 양팽손의 위패가 주벽에 모셔져 있으며, 양신용의 위패도 함께 배향되어 선조를 기리는 제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문화재로서의 가치와 관리 현황

용강서원은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1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는 1985년 2월 25일에 이루어졌습니다. 현재 용강서원은 제주 양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으며, 그들의 관리하에 서원이 잘 보존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원의 관리와 보존을 통해 조선시대 순천 지역 사족들의 활동과 유교 문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용강서원은 이 지역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순천 용강서원 방문 정보

용강서원은 순천시 공마당1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방문객들을 위해 연중무휴로 개방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입장료 없이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서원 인근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차량을 이용한 방문이 편리합니다.

https://www.cha.go.kr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공마당1길 64
이용시간 : 상시개방
휴일 : 연중무휴
주차 : 가능
입장료 : 무료

 

반응형